●섭식장애, 거식증과 폭식증
거식증(신경성 식욕부진증)과 폭식증(신경성 대식증)은 다르면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쌍둥이’ 질환이다.
거식증 환자는 살찌는 것을 걱정하고 공포를 느끼며 비만이 아닌데도 자신이 비만이라는 왜곡된 생각을 한다. 그래서 체중을 줄이고자 식사를 제한하거나 먹고 나서 인위적으로 토하는 등의 행동을 한다.
폭식증 환자는 자제력을 잃고 비상식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미친 듯이 먹고 난 뒤 의도적으로 구토하고 설사를 한다. 일시적인 과식이나 식탐은 폭식증이 아니다. 거식증과 폭식증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일부 증상만 나타날 때도 있다.
섭식장애는 생물학적 원인과 심리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유전적 원인과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 식욕과 포만감에 작용하는 물질의 변화, 에너지 대사 과정의 변화, 포만감에 관여하는 물질의 변화가 섭식장애를 일으킨다. 심리적 원인으로 일부 학자는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 압력, 여성의 사회적 역할 변화로 인한 갈등을 꼽는다. 음식 섭취와 체중을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려는 태도도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수록 이런 섭식장애에 걸리기 쉽다.
섭식장애 환자들의 식습관은 매우 다양하다. 음식 먹는 것을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방법으로 행해야만 하는 일종의 의식처럼 여긴다. 짧은 시간에 자제력을 잃고 다량의 음식을 먹어 치우는 폭식을 하고 나서는 자신에 대한 환멸과 자제력을 또 상실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다. 섭식장애에 시달리는 사람은 폭식을 두려워하지만 실은 살찌는 것을 더 무서워한다.
따라서 자제력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극대화된 나머지 단 한 번의 실수로 모든 것을 망칠 것이란 생각에 불안해한다. 대체로 섭식장애 환자들은 왜곡된 신체상을 갖고 있는데, 실제 몸무게와는 별개로 자신이 뚱뚱하거나 뚱뚱해질 것이란 생각을 한다.
최소한의 정상 체중을 유지하길 거부하거나, 자신의 체중과 신체 크기, 외모에 대해 왜곡된 생각을 하고 있다면 거식증으로 진단한다. 폭식증은 반복되는 폭식, 체중 증가를 예방하기 위한 구토 등 부적절한 행동을 기준으로 진단한다.
영양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내과적인 합병증이 심하고, 심각한 정신장애가 따르면 입원 치료를 해야 한다. 영양을 공급해 체중을 천천히 증가시키고 매일 같은 시간에 식사하도록 하며 구토 여부를 확인하고자 적어도 식후 두 시간은 환자를 관찰한다. 또 식사를 포함한 인지치료, 모임 등에 참여하도록 사회적 활동을 격려해야 한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