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원인과 관리법
간암은 경제 활동이 한창인 40~ 50대에 많이 걸린다. 그래서 사회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암이다. 간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은 2010년 기준 약 3조7000억원으로 모든 암 중 1위이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는 “간암은 젊은 나이에 발생해 손실이 더 큰 만큼 간암 발생을 막거나, 조기발견을 위한 검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래픽=이철원 기자
◇간암 원인, 만성 간염 때문
간암의 원인은 명백하게 밝혀져있다. 대한간암학회에 따르면 B형간염은 간암 원인의 72%, C형간염은 11%, 알코올은 10%를 차지하고 있다. 임영석 교수는 “암 중에서 원인이 가장 명확한 암이라 암을 예방하거나 조기발견하기도 쉽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B형·C형간염 조기검진을 철저히 해 20년 간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고 있다. B형간염 유병률은 30세 이상에서 5% 내외, C형간염은 1% 내외로 추정된다.
◇간암 막는 방법
▷B형간염 환자: 자기 상태 알아야
B형간염은 감염 후 시간이 지나면서 병의 양상이 변하기 때문에 자기 간이 어떤 상태인지 알아야 한다. 처음 감염된 후에는 20~30년간 ‘면역관용기’ 상태로 지내게 되는데, 이 때는 간염도 없고 간 손상도 없다. 그 다음은 ‘면역제거기’로 넘어간다. 이 시기에는 면역세포가 간염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염증이 생긴다. 흔히 ‘활동성 간염’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 바이러스 증식과 활동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를 하지 않으면 간이 급격하게 손상돼 간염→간경변증→간암으로 진행한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도영 교수는 “B형간염 환자는 병을 확인한 순간부터 1년에 한 번씩 간 초음파 검사 등을 받고, 40세 이상이나 간경변증 환자는 6개월에 한 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간염 진행 상황을 알고 적절히 대비하며, 혹시 간암이 생기더라도 조기발견과 치료를 통해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C형간염 환자: 감염 여부 확인
B형간염 검사는 학교 검진, 직장인 검진 등에 포함돼 있어 환자의 75% 이상이 자신의 병을 안다. 반대로 C형간염은 이런 검진에 포함돼 있지 않아 환자의 65%가 자신의 병을 모른다고 한다. 김도영 교수는 “간암 위험이 높아지는 40세 이후에는 C형간염 검사를 한 번쯤 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현재 대한간암학회에서는 국가적으로 40세, 65세에 진행하는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에 C형간염 검사를 포함시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1992년 전에 수혈받은 사람, 혈액투석 환자, C형간염 환자의 가족, 의료계 종사자 등은 C형간염 위험이 있으므로 검사를 받으라고 권고하고 있다. 위생관리가 안된 침을 자주 맞는 사람, 귀를 뚫거나 눈썹 문신을 한 사람 등도 고위험군이니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C형간염이 확인되면 약을 투여한다. 약은 과거에는 주사제였지만 최근에 먹는 약이 나왔고, 완치율도 90% 로 높아졌다.
▷알코올성 간질환: 정신과 치료 병행
술을 마시면 간에서 알코올이 대사되는데, 이 과정에서 나오는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간세포를 손상시킨다. 또한 술을 마시면 간은 지방을 축적하려고 하는데, 축적된 지방 자체가 간을 손상시킬 수 있다. 손상이 계속되다보면 간경화, 암으로 진행한다. 대한간학회에 따르면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은 남자의 경우 40g, 여자의 경우 20g을 초과할 때 알코올성 간질환이 생길 위험이 높다. 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술 1잔에 약 10g의 알코올이 들어있다. 김도영 교수는 “한국인은 와인이나 맥주보다 알코올 함량이 높은 소주 등 증류주를 많이 마시는데, 알코올성 간질환이 더 잘생긴다”고 말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쉽게 볼 질병이 아니다. 급성 알코올성 간염은 3개월 내 사망률이 45%에 달하는 무서운 병이다. 치료는 금주(禁酒)가 기본이다. 고대안암병원 소화기내과 엄순호 교수는 “알코올성 간질환이 있는 사람은 알코올 중독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며 “금단 증상을 극복하기 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도 같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경변증 환자, 초음파 잘 안보여
간염은 간 초음파 검사와 혈액 속 간암 종양표지자를 보는 검사를 한다. 그러나 간경변증이 온 경우에는 초음파로 정확히 간 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임영석 교수는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은 CT·MRI검사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간경변증 환자들을 위해 1년에 한번 CT·MRI검사에 대해 보험 적용을 해주고 있다. B형·C형간염으로 간경변증이 생기는 경우 연간 간암으로 진행될 확률은 2~6%에 이른다.
현재 보건당국에서는 40세 이상 간암 고위험군(B형간염·C형간염·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1년에 한 번 간 초음파와 혈액 검사를 해주는데, 검사 대상자로 선정되려면 B형·C형간염, 간경변증 환자가 2년 내에 병의원을 찾아 진료를 받은 적이 있어야 한다. 임영석 교수는 “많은 고위험군 환자들이 바쁘다는 핑계로, 몸에 이상이 없다는 핑계로 병원에 안 가 간암 검진 대상자로 포착이 안되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