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라도 10㎝ 앞 신문글씨 안 보이면 노안 의심!

40세를 넘긴 독자라면 지금 든 신문을 눈앞 10㎝에 대고 읽어보자. 코앞의 글씨인데도 잘 보이지 않는다면 노안을 의심해봐야 한다. “내가 벌써 노안?”이라고 놀랄 일도 아니다. 눈을 혹사하는 현대인에게 노안은 노화와는 거리가 멀다고 여겨지는 30~40대에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노안의 증상은 가까이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것 외에도,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눈의 통증이나 두통, 눈이 자주 침침하고 흐릿해지는 증상, 가까운 물체뿐만 아니라 멀리 있는 물체도 잘 보이지 않는 증상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나이가 들며 노안이 오는 것은 수정체의 탄력성이 점차 떨어져서다. 눈은 사물을 볼 때 사진기의 렌즈처럼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갖고 있다. 자동사진기의 초점을 근거리에 맞추면 렌즈가 앞으로 나오듯, 우리 눈도 가까운 곳을 볼 때 수정체의 두께가 변하며 자동으로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가며 수정체를 지탱해주는 근육의 힘이 약해지고 수정체 또한 혼탁하고 딱딱해지면서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보통 40세부터 증상을 느끼기 시작해 서서히 진행된다. 원시가 있는 사람은 노안 증상이 더 빨리 나타나고 그 정도도 심하다.

노안을 일으키는 원인은 특별할 게 없다. 사람의 신체에서 가장 먼저 노화가 시작되는 곳은 다름 아닌 눈인데, 대부분 20살이 넘어가면서 눈이 퇴화하기 시작하고 40대가 되면 노안의 증상을 자각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 노화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는 일종의 신호다. 그래서 노안이 생긴 이들은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 데서 오는 불편함보다 심리적 박탈감을 더 호소한다. 수정체를 조절해 초점을 맞추는 조절력은 대개 50대 중반에 소실된다.

이 시기에는 수정체뿐만 아니라 눈의 다른 부위에서도 노화 현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눈꺼풀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눈물 분비 및 순환 장애, 건조함, 충혈, 이물감, 만성 염증 등이 생긴다.

노안은 질병이라기보다 나이가 들어가며 예외 없이 오는 현상이므로 예방이란 게 무의미하다. 다만 평소 눈 관리로 시기를 늦출 수는 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 화면과 눈의 거리를 30㎝ 이상 유지하고, 1시간 작업 후 최소 10분은 쉬어야 하며 눈이 피로하고 어깨 근육이 뭉쳤다고 생각되면 1시간이 안 됐더라도 그때마다 쉬어야 한다. 컴퓨터를 장시간 쓴다면 일하는 사이 의도적으로 눈을 한 번씩 깜빡거려준다.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 보기, 흔들이는 지하철이나 차 안에서의 독서도 피하는 게 좋다.

임현택 서울아산병원 안과 교수는 “TV나 컴퓨터 모니터를 올려봐야 하는 위치에 두면 눈을 크게 떠야 해 눈이 쉽게 건조해지고 눈을 피로하게 만든다”며 “15~25도 정도 약간 아래로 내려다볼 수 있는 위치에 두는 게 좋다”고 말했다. 자외선은 피부뿐만 아니라 눈의 노화도 촉진하기 때문에 한낮에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게 좋다.

한번 노안이 시작됐다면 눈을 원상복구시키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40~50대는 ‘노안 라식’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그렇다고 노화를 멈추게 할 수는 없다. 김병엽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교수는 “개인의 눈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노안 라식을 해도 3~5년 정도 지속하고 다시 노안 증세가 나타날 수 있어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안이 시작되면 보통 돋보기를 사용하는데, 무작정 안경점에 가서 고르는 것은 좋지 않다. 너무 높은 도수의 돋보기를 쓰면 눈이 남아있는 조절력을 쓰지 않아 노안이 더 심해질 수 있고, 너무 낮은 돋보기를 쓰면 억지로 가까운 곳을 보려고 무리를 하게 돼 만성피로가 생긴다. 김 교수는 “안과 검진을 받고 작업하는 거리에 따라 돋보기 도수를 달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