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얼마 전 라식 수술을 위해 안과를 찾았다가 뜻밖의 녹내장 진단을 받았다. 특별한 자각 증상도 없었고 그저 나이 들면 생기는 질환이라고 여겼던 이씨는 적잖게 놀랐다.
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돼 실명에까지 이르는 질환으로 ‘소리 없는 그림자’라고 불린다. 나이가 들면서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백내장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지만, 녹내장은 환자의 연령대가 다양하다.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해 녹내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환자 71만 6767명 가운데 50대 이상이 67.7%(48만 5081명)를 차지했지만 40대가 10만 6075명, 30대가 6만 3451명, 20대 4만 3824명으로 40대 이하 환자도 적지 않았다. 심지어 10대 환자도 1만 5649명이나 됐다.
녹내장이 생기면 시야가 침침하고 어두워지므로 노안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나이가 젊고 시력이 좋아도 발병할 수 있다. 안과 검진에 대한 인식이 낮다 보니 나빠진 시력을 라식 수술 등으로 교정하고자 병원을 찾았다가 우연한 기회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빨리 발견하면 더는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 차원에서 치료할 수 있지만 뒤늦게 발견하면 시신경이 손상돼 회복이 어렵다.
황영훈 건양의대 김안과 병원 녹내장센터 교수는 “시신경이 상당히 손상되는 말기까지도 중심 시력은 거의 정상이고 주변 시야만 서서히 소실되기 때문에 자각하지 못해 환자가 병원을 찾았을 때는 녹내장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녹내장은 안압이 높은 사람에게서 잘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성경림 서울아산병원 안과 교수는 “우리나라 녹내장 환자의 77%가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로 밝혀졌다”며 “안압이 낮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녹내장 초기에는 사물을 볼 때 명암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대비감도 저하 증상이 나타난다. 대비감도가 저하되면 계단을 내려갈 때 잘 보이지 않아 발을 헛디디는 일이 잦아진다. 빛이 번져 보이거나 시야가 좁아졌다고 느낄 때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므로 빨리 진료해야 한다.
40세 이상, 당뇨병이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자, 고도근시 환자,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환자 등이 고위험군이다.
서서히 시력을 앗아가는 또 하나의 질환은 백내장이다. 빛이 잘 통과하려면 수정체가 투명해야 하는데, 어떤 이유로 투명한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면 초점이 깨끗하게 맺히지 않아 사물이 흐리게 보이고 시력이 감퇴한다. 수정체의 혼탁이 심해지면 눈동자가 하얗게 변해 백내장(白內障)이라고 부른다.
시력 감소는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밝은 햇빛 아래서 더 잘 안 보일 수도 있고 반대로 어두운 곳에서 시력 감소를 더 느낄 수도 있다. 눈물이 나거나 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끼는 것은 백내장 증상이 아니다.
백내장의 가장 흔한 원인은 노화현상이다. 나이가 들면 누구에게나 약한 수준의 백내장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수정체 중심부에 혼탁이 없다면 시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크게 걱정할 것은 없다.
김재용 서울아산병원 안과 교수는 “백내장이 있다고 무조건 수술할 필요는 없으며, 독서나 운전 시 문제가 있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을 때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다만 백내장을 너무 오래 내버려두면 백내장 제거가 매우 어렵다.
전문가들은 되도록 1년에 한 번씩 안과 검진을 받을 것을 권한다. 기창원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중년 이후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시력, 안압 등을 측정해야 하며 일단 백내장 진단을 받았다면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고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