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이 일교차가 크면 기관지 점막이나 코 점막이 예민한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들은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런 증상은 감기와 유사하여 천식이나 비염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계절적인 기후 변화 외에 환절기에 환자들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 자작나무, 참나무에서 날리는 꽃가루도 중요하다. 특히 알레르기 환자들은 이런 미세먼지와 꽃가루로 인해 기관지뿐 아니라 피부도 예민해 지기도 하며,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에는 환절기에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천식은 공기를 흡입하면서 들어온 외부 알레르기 물질이 알레르기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알레르기 염증이 발생된 기관지에서는 알레르기 물질, 매연, 찬공기 등에 노출되면서 기관지 평활근이 수축하게 되어 숨이 차거나 기침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은 급성으로 지속되어 위험한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한다.
기관지가 많이 좁아지면 공기가 지나갈 때 기관지벽에 부딪히는 소리를 내게 되므로 상당수의 천식환자들은 호흡곤란과 더불어 목에서 “쌕쌕거리는 소리”를 경험한다. 이처럼 좁아진 기관지에 따른 호흡 곤란, 천명(숨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기침이 천식의 3대 주요 증상이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과 비듬, 바퀴벌레 같은 벌레 부스러기 등과 작은 입자들은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어 기도에 알레르기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환자들은 음식물, 음식물첨가제, 약물 등에 의해서도 호흡기 알레르기 증세가 나타나거나 악화될 수 있다.
아직까지 알레르기 천식의 확실한 예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소아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에는 특징적으로 영유아기에 아토피 피부염을 보이던 환자가 후에 알레르기 천식 또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이행하는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이런 경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알레르기 질환은 가족력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부모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을 경우, 자녀들에게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와 관심을 요한다.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비염은 코 점막이 특정 물질에 대하여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코 점막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에 노출된 후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후 다양한 매개물질에 의하여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발생하게 된다. 물처럼 흐르는 맑은 콧물, 발작적인 재채기, 코 또는 눈 주위 가려움증, 코막힘의 네가지 주요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을 때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할 수 있다.
일반적인 먼지, 온도의 변화, 담배연기나 매연, 화장품, 스트레스 등도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유발요소를 피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집 먼지 진드기의 경우 침대, 이불, 베개, 담요 등 먼지가 쉽게 끼거나 날리는 물건은 지퍼가 달린 커버를 사용하고, 커버는 삶아 빨도록 한다. 특수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실내청소도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방법으로 환경요법과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이 있다. 환경요법은 비염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자극들을 피하는 것이고 약물요법은 항히스타민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비충혈제거제가 있다. 면역요법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매우 낮은 농도의 알레르기 물질을 규칙적으로 투여하여 원인 알레르기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을 무뎌지게 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의 검사 방법을 통하여 항원이 밝혀진 경우에 시도할 수 있으며, 회피요법과 약물요법이 소용이 없는 경우에도 시도해볼 수 있다. 이 방법은 꾸준히 3~5년간 지속해야 장기적인 효과가 있다.
알레르기성 쇼크
아나필락시스라고 불리는 알레르기 쇼크는 특정 알레르기 물질에 노출된 후 급격하게 진행하는 심한 전신적인 과민반응으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증상은 두드러기, 발적, 국속부종과 같은 피부증상을 비롯하여 호흡곤란, 복통, 혈압저하, 의식소실과 같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물질은 계란, 우유, 땅콩, 해산물, 밀가루, 메밀가루, 과일 등과 같은 음식물과 소염진통제, 항생제, 조영제 등 약물이지만, 벌, 개미 등의 곤충 독과 운동, 온도변화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다양한 야외활동이 증가되는 봄철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하고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원인물질을 파악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회피하고, 응급대처법을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급성 증상이 발생하면 응급 조치를 통해 혈압을 상승시키고 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에피네프린이라는 교감신경 항진주사와 함께 산소를 공급하여 혈압과 체내 산소를 정상적로 유지시켜야 한다. 만약 이러한 조치가 지연될 경우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회복되더라도 심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이 밖에 증상에 따라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등의 투여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아나필락시스 환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대책은 자신의 증상을 유발한 원인을 정확히 알아 이후에 다시 노출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대부분은 증상 발생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필요하면 자신이 아나필락시스 환자이며, 어떤 물질에 과민반응이 있는지를 메모해서 지갑에 넣어두거나 목걸이로 만들어 걸고 다니는 것도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정신을 잃고 쓰러졌을 경우 주변 사람이 그 원인을 짐작하여 적절한 응급 조치를 시행할 수 있고, 약물에 의해 발생한 경우 원인 약물이 재차 투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알레르기 결막염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눈의 결막에 접촉하여 결막에 알레르기성 염증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알레르기 결막염이라고 한다. 눈이나 눈꺼풀의 가려움증, 결막의 충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전반적인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과 같은 증상을 주로 호소하며, 이외에도 결막이 부풀어오르는 증상(결막 부종), 눈꺼풀이 부풀어오르는 증상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지만, 정확한 항원을 찾기가 어려워 대부분 증상 치료에 중점을 두게 된다. 치료는 다른 알레르기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회피요법과 약물치료의 두 가지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회피요법은 원인이 되는 물질을 알고 있는 경우 적극적으로 생활환경에서 원인 항원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알레르기 결막염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원인물질은 피부항원접촉검사로 알 수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 생활환경에서 증상의 발생 또는 악화를 통해 원인물질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약물치료는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혈관수축 점안제 등을 사용한다.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에 발생하는 만성 알레르기 염증성 질환이다. 염증이 생기면 빨갛게 발진이 발생하며 심한 가려움이 가장 큰 특징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소아에게서 흔히 나타나고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지속될 수 있는 만성 피부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복합적인 인자들에 의해 발생하는 다인자성 질환임은 분명하며, 이 질환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유전적인 아토피 소인과 더불어 다양한 면역학적, 약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유발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회피요법, 피부보습, 약물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회피요법으로는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음식인 우유나 달걀 흰자 등을 피하고, 피부에 직접 닿는 옷을 부드럽고 넉넉하게 맞는 옷을 선택하는 것이 있다. 또한 주변환경에서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자극을 피하는 것이 좋다. 피부 보습을 위해 미지근한 물로 목욕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저자극성 비누나 아토피 전용 세정제를 사용한다. 또한 샤워 후 물기가 사라지기 전에 보습제를 발라야 피부 건조를 막을 수 있으며 평소에도 보습제를 3회 이상 바르는 것이 좋다. 약물치료로는 가려움증 억제제, 보습제, 바르는 스테로이드제, 항생제, 면역조절제 등이 있는데 이러한 약물치료는 반드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한 후 시행하여야 한다.
아토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후 6개월 이하의 아기는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좋으며 가족력이 있을 경우 미리 조심해야 한다. 피부는 늘 깨끗하고 촉촉하게 유지해야 하며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은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한 후 시행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면 소재의 옷을 입고 손톱은 짧게 깎는 것이 좋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각 분야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과학적 기반에 근거한 것으로
과학적 연구결과와 출판된 논문 등 분명한 정보의 출처를 갖습니다.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무단 배포 및 복제를 금합니다. 인용 및 배포를 원하는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해야 하며
기타 문의사항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로(02-2072-4587) 연락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