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가입자 자연유산 비율도 비(非)직장가입자보다 높아
(서울=연합뉴스) 서한기기자 40세 이상의 고령 산모가 임신 도중 자연유산하는 비율이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고령임신으로 태아의 염색체에 이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자연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상태를 뜻한다. 임신 초기인 14주 이내에 자궁 내 태아가 사망해 발생하는 계류 유산이 대표적이다.
28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9~2013년 ‘자연유산’으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09년 1만4천명에서 2013년 1만7천명으로 연평균 3.9%씩 증가했다.
다만, 자연유산에 따른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18억6천507만원에서 2013년 18억1천196만원으로 다소 줄었다.
분만 진료인원 중 자연유산 비율은 2009년 3.6%(분만 41만1천543명, 자연유산 1만4천740명)에서 2013년 4.3%(분만 39만9천375명, 자연유산 1만7천151명)로 늘었다.
2013년 기준 분만 진료인원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임신 연령별로 살펴보면, 40~44세가 12.1%(분만 1만3천230명, 자연유산 1천602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35~39세 4.6%(분만 7만9천891명, 자연유산 3천700명), 25~29세 4.0%(분만 8만1천540명, 자연유산 3천248명), 30~34세 3.5%(분만 20만4천928명, 자연유산 7천198명) 등의 순이었다.
또 자연유산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비(非) 직장가입자로 나눠 분석한 결과, 분만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모든 연령에서 직장가입자가 비(非) 직장가입자보다 높았다.
일산병원 산부인과 이산희 교수는 직장가입자의 자연유산 비율이 같은 연령대의 비직장 가입자보다 높은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렵지만 주로 자연유산 중 ‘절박 유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절박 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질출혈을 동반해 실제 유산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 교수는 “이때는 절대 안정과 관찰이 필요한 시기이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산모는 상대적으로 안정을 취하지 못해 자연유산으로 진행되는 일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연유산은 대부분 염색체 이상이 원인으로 유전 질환보다는 수정돼 감수분열하는 과정에서 확률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염색체 이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