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하루 종일 사무실에서 컴퓨터와 전쟁(?)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종일 바쁜 업무에 다양한 작업을 컴퓨터로 해야하기 때문이죠.
영업직 등 외근이 많은 부서가 아니라면, 한정되고 혼탁한 공간에서 혹사당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곳 저곳 몸에 이상신호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눈’도 예외는 아닙니다. 직장인을 가장 괴롭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눈의 피로입니다
겨울철 날씨가 추워 실내에서 난방기구를 사용한다면 눈의 피로는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오염된 실내공기에서 각종 전자파에 이르기까지 일터에서 혹사당하고 있는 뻑뻑하고 따가운 눈,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요?
우선 적정 실내 온도 확보입니다.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는 20~22°C 정도라고 합니다. 실내에서 덥고 답답하게 느껴질 정도의 난방은 눈물층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습도까지 낮춰 눈 건강에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사무실 환경 중 눈에 가장 치명적인 것은 바로 건조한 공기입니다. 또한 모니터를 살짝 아래로 내려다보게 설치하면 안구의 수분이 공기에 덜 노출되기 때문에 안구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온종일 쉬지 않고 일하는 기관 중 하나인 눈은 피로를 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과로하기 쉽죠. 따라서 50분간 컴퓨터를 사용하고, 10분간 휴식을 취하는 ‘5010룰’을 잘 지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문서 작업이 많은 사무실은 300~600룩스 정도의 조도가 적절하며, 정밀한 작업이 많을수록 조도를 더 높여야 합니다. 사무실 조도는 업무 성취도나 능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또 우리나라 사무실은 전기 절약 등의 탓으로 어둡기 때문에 어두운 가장자리에는 국부 조명을 설치해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이 때 단파장인 형광등 불빛은 눈의 피로를 가중시킬 수 있는 만큼 백열전구를 이용해 간접 조명을 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에 대표적인 안질환은 안구건조증이라고 합니다. 눈 표면의 눈물이 증발함으로써 눈이 뻑뻑해지고, 심하면 따갑고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하는 안구건조증은 주변 환경의 습도 조절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일반적인 사무실 내 적정 습도는 55% 정도라고 합니다.
눈을 건강하게 하는 3가지 비결을 확인해보시죠.
▲야채와 친해지기=시금치에 들어있는 항산화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은 노화와 함께 눈의 망막에 나타나기 쉬운 황반변성을 예방한다고 합니다.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많이 포함된 야채로는 시금치 외에 케일, 순무 잎, 브로콜리, 호박, 옥수수, 겨자잎 등이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A가 풍부한 당근, 시신경으로의 혈류를 원활하게 해주는 항산화제가 함유된 블루베리, 고지 베리 등도 눈을 건강하게 만드는 간식거리로 손꼽힙니다.
▲충분하게 물을 마시자=눈 건강의 기본은 수분 공급이죠. 따라서 규칙적으로 천천히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시면 눈의 건조함을 줄이고 매끄러움을 유지할 수 있고, 하루 8잔 정도는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눈 떨림을 방지하는 눈 운동
=깨끗이 씻은 손바닥을 서로 비벼 따뜻하게 만든 다음 눈 위에 올려놓고 5초 정도 살짝 눌러주고, 3회 정도 반복합니다.
=눈동자를 원으로 굴립니다. 위에서부터 천천히 눈을 돌려 10회는 시계방향, 10회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합니다.
=펜을 들고 팔을 쭉 편다음, 시선을 펜에 고정합니다. 천천히 펜을 가까이 가져와 코에서 12~15㎝정도까지 와서 멈추고, 다시 천천히 펜을 뒤로 옮기면서 시선을 따라 움직입니다.
=엄지손가락 관절을 사용해 관자놀이를 부드럽게 마사지합니다. 20회 정도 시계방향, 20회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 다음, 마찬가지로 눈썹 가운데에서 이마 쪽, 눈 아래에서 코 옆쪽까지 실시합니다.
*도움말=이대일 원장(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