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동북부 취재본부 최인영 기자 snakorea.rc@gmail.com
【서울뉴스통신】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탄산음료를 마실 때 카페인 함량을 확인할 것을 권했다.
연구원은 시판 중인 콜라, 사이다 등 청량음료와 에너지드링크 등 20종을 수거해 카페인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두 카페인 표시 규정을 준수하고 있으나 여름철에 탄산음료 섭취량이 증가하는 만큼 과다섭취에 유의해야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초등학생의 39%와 청소년의 30%가 탄산음료를 통해 가장 많은 카페인을 섭취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카페인 함량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탄산음료에도 최대 31mg이 들어있는 것으로 조사돼 어린이와 청소년, 임산부를 비롯해 카페인 민감자 등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탄산음료는 청량감과 피로회복, 졸음 방지 등 각성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탄산과 카페인을 첨가하는 제품이 많다.
식약처 기준에 따르면 하루 카페인 권고량은 어린이와 청소년은 몸무게 1kg당 2.5mg이다.
몸무게가 20kg라면 하루 50mg을 넘지 않는 게 좋다는 뜻이다.
임산부는 300mg 이하, 성인은 400mg 이하이다. 커피전문점 커피는 1잔당 평균 107mg가량의 카페인이 들어있다.
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카페인 함량이 표시된 고카페인 음료의 경우 1캔당 카페인이 58~120mg으로 제품 간 최대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주로 에너지음료에서 카페인 함량이 높았다.
카페인이 1ml당 0.15mg 이상 들어있는 음료는 ‘고카페인 함유’라는 문구와 총 카페인 함량을 제품에 표기해야 한다. 또 ‘어린이, 임산부, 카페인 민감자는 섭취에 주의하여 주시기 바란다.’는 문구도 표기해야 한다.
고카페인 음료는 250ml 캔음료 기준으로는 37.5mg 이상이며, 그 이하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카페인 함량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제품 가운데 카페인이 함유된 제품은 콜라 등 청량음료가 많았다.
한편,연구원은 제품에 표기된 원재료명 중 ‘과라나추출물’, ‘콜라나무열매’, ‘카페인(향미증진제)’ 등이 표기된 경우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이므로 섭취량을 조절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