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늘한 아침 저녁, 환절기 편도염 주의

(최종) 가을 01. 서늘한 아침 저녁, 환절기 편도염 주의(1)_원본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9월이 되면, 아침 최저기온이 20℃ 정도로 내려가 창문을 열고 자면 서늘한 바람이 들어온다. 하지만 한낮 최고기온은 아침보다 10℃ 가량 높아지면서 일교차가 커지는 곳도 많다. 이처럼 일교차가 큰 날씨가 지속되면 편도염 환자가 늘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월별 편도염 진료 환자(2009-2013)는 3~4월 환절기에 증가하다 여름철에 감소하고 9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의 및 원인

편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코와 입 안쪽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구조이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이다. 편도염은 이러한 구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통칭하는 말로, 급성 편도염과 만성 편도염으로 나뉜다.

 

편도

(이미지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급성 편도염은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의미하며, 대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한다. 급성 편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지만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 다양한 균과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급성 편도염은 대개 청년기 또는 젊은 성인에서 잘 발생하며, 다른 연령층에서는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피로할 때,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감기를 앓고 난 후, 대사성질환 및 면역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만성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이 반복해서 발생하거나 급성 편도염의 증상은 없지만 편도의 염증으로 인해 지속적인 불편함을 경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만성 편도염의 원인은 급성 편도염과 유사하지만 그람양성균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

급성 편도염은 대개 갑자기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 목이 아픈 증상이 발생하며,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을 느낀다. 또한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비슷해 많은 사람들이 감기로 오인하곤 한다. 하지만,급성 편도염 환자의 입안을 보면 편도 주위의 입 안이 붉게 충혈되고 편도가 커져 있는 상태이며, 염증이 심하면 편도의 표면에 노랗거나 하얀 막이 붙어 있는 모양을 보이기도 한다.

 

목 주변에 위치한 여러 개의 림프절은 편도에 염증이 생기면 면역반응으로 같이 커져 턱 아래나 목 옆쪽으로 작은 멍울이 생기고, 이 멍울을 눌렀을 때 통증이 동반되곤 한다. 급성 편도염의 증상은 4~6일 정도가 지나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만성 편도염은 대개 급성 편도염의 증상이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지속적인 인후통(침이나 음식물 삼킬 때 목에 발생하는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이 외에도 연하곤란(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움)과 편도결석으로 인한 구취가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

급성 편도염은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며, 구강 가글제를 사용하여 구강 청결을 유지하는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전문의의 진단하에 적절한 소염진통제와 항생제(세균 감염에 의한 편도염)를 사용하여야 한다.

 

만성 편도염 역시 대부분 증상을 호전시키는 치료를 시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편도 절제술을 시행한다. 1년에 5~6회 이상 편도염이 발생하거나 최근 2년간 1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나타날 때, 편도비대로 인해 치아 부정교합이나 안면발달 장애가 있는 경우, 편도 비대로 인해 심한 구호흡(입으로 숨을 쉼) · 코골이 · 수면무호흡이 지속될 때,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감염이 있는 경우, 부비동염이나 중이염 합병증이 동반될 때 편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수술 여부는 환자가 반복되는 편도염 증상으로 인해 얼마나 불편함을 겪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환자가 편도염이 발생할 때마다 생기는 인후통, 연하곤란, 전신 쇠약감 등이 견디기 힘들거나, 아이들의 경우 고열로 인해 편도결석이 많은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하여 수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령과 상관없이 증상이 심한 정도에 따라 수술 여부를 결정하게 되지만, 편도 아데노이드가 만 5세 즈음에 작아지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있어서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5~6세 이후에 수술 시기를 잡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환절기, 예방법

(최종) 가을 01. 서늘한 아침 저녁, 환절기 편도염 주의_네이버

 

앞서 살펴보았듯이 급성 편도염은 피로가 쌓이거나 온도 변화에 노출되었을 때, 대사성질환 및 면역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잘 발생한다. 환절기 때 일교차가 크면 면역력이 약해지고 건조해진 호흡기로 세균이 쉽게 침투하게 되어 편도선염 같은 급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여 접촉을 통한 균 감염을 줄이고, 사무실이나 교실 등은 환기를 자주하여 공기로 통한 감염균 전파를 줄이는 게 도움이 된다. 이 외에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평소에 휴식을 취하여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하며 추운 아침에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은 뒤 온도 변화에 따라 한 겹씩 벗거나 다시 입는 것이 좋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각 분야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과학적 기반에 근거한 것으로
과학적 연구결과와 출판된 논문 등 분명한 정보의 출처를 갖습니다.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무단 배포 및 복제를 금합니다. 인용 및 배포를 원하는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해야 하며
기타 문의사항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로(02-2072-4587) 연락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