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먹느냐 만큼 중요한 게 얼마나 잘 배출하느냐이다. 장의 활동이 둔화해 노폐물이 장에 오래 머물면 장벽으로 독성물질이 더 많이 흡수되고 혈액을 따라 온 몸으로 퍼져 세포 조직 안에 쌓이게 된다. 세포에 독성물질이 쌓이면 세포 기능이 떨어져 만성피로와 혈액순환 장애가 온다. 또 급성 질환에도 잘 노출되며 치유력이 떨어져 퇴행성 질환 및 만성질환으로 이어진다. 변비는 워낙 흔해 실제 변비 증상이 있는 사람조차 잘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난해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 운동학회 변비연구회가 국내 변비 환자 625명의 증상 인식과 치료실태를 조사한 결과 분명히 변비 증상이지만 변비가 아니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400명이 과도한 힘주기(64.0%), 392명이 잔변감(62.7%), 363명이 적은 배변 횟수(58.1%), 359명이 딱딱한 변 (57.4%)의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지만 이를 변비 증상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훨씬 낮았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159명(25.4%)만이 과도한 힘주기가 변비 증상이라고 답했으며, 딱딱한 변을 변비 증상으로 꼽은 환자도 170명(27.2%)에 불과했다. 적은 배변 횟수를 꼽은 사람도 216명으로 3명 중 1명꼴에 불과해 흔히 겪는 변비의 징후를 일시적 증상 정도로 여기는 환자가 대부분이었다.
설사도 변비의 또 다른 형태다. 변이 나가지 못하고 장에 오래 있으면 우리 몸은 노폐물을 제거하려고 마지막 수단으로 변을 액체로 만들어 내보낸다. 그래서 변비 환자 중에는 설사와 변비를 반복하는 이들이 많다.
변비 치료의 기본은 섬유소와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다. 이런 노력을 게을리하면서 약으로만 치료하려 들면 배설 기능이 망가질 수도 있다. 변비는 팽창성 하제로 변 부피를 크게 해 치료하기도 하고 삼투성 하제를 사용해 삼투압을 조절, 변의 수분을 늘려 치료하기도 한다. 자극성 하제로 장에 자극을 줘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팽창성 하제는 초기 변비 환자에게 효과가 있지만 복부 팽만감, 복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심한 변비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팽창성 하제로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면 변의 수분을 늘리는 삼투성 하제를 추천하기도 하는데, 대장 협착 또는 대장 폐쇄 환자는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자극성 하제는 효과가 빠르지만 대장 내 수분과 전해질 손실, 장 무력증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단기간 복용해야 한다.
시중에 나와 있는 변비약의 90%는 장에 자극을 줘 억지로 연동운동을 하게 만드는 것이어서 자연스러운 배설 기능을 회복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장 근육이 변비약에 계속 자극을 받기 때문에 오랜 기간 완화제에만 의존하다 보면 변을 스스로 내보내는 장의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장에 쌓인 노폐물을 그때그때 제거하려면 콩과 표고버섯 등 각종 버섯류에 많이 든 불용성 식이섬유를 자주 먹는 게 좋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물에 녹지 않아 몸에 들어가면 수분을 흡수해 부풀어 오른다. 크게 팽창한 식이섬유는 장을 자극해 연동운동을 일으키고 배변을 원활하게 하며 수은·카드뮴 등 유해 금속이나 발암물질을 흡착해 대변과 함께 배설시킨다. 식이섬유로 대변이 커지면 죽은 장내 세포의 세균, 음식물 찌꺼기도 같이 배출된다. 장내 세균의 교체도 활발해져 장이 건강해진다.
변의 냄새로도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대개 변에서는 냄새가 나지만 코를 막아야 할 정도로 악취가 난다면 장내 유해균이 많다는 뜻이다. 건강한 변의 색깔은 갈색이며, 갈색이 아닌 검은색이나 녹색 등 다른 색은 몸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